19. Python 람다식 기초
람다식은 함수보다 형태를 더 짧게 해줄 수 있습니다. add=lambda x,y:x+y #lambda를 통해 매개변수를 지정. return까지 설정 print("add :",add(1,2)) #3 #map() #다수의 원소에 대한 함수의 결과를 한 번에 얻게 해줌 list1=[1,2,3,4,5] list2=[6,7,8,9,10] my_func=lambda a,b: a+b result=map(my_func,list1,list2) #리스트의 각 원소들을 더해줌 print("map :",list(result)) #[7, 9, 11, 13, 15] add : 3 map : [7, 9, 11, 13, 15]
17. Python 리스트의 기본 함수
이번 글은 리스트의 기본 함수들을 알아보겠습니다. 이전에 리스트 관련 글을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. https://chanshare.tistory.com/24 # index(원소) 리스트의 특정한 원소의 인덱스 찾기(없으면 오류) my_list = ['짱구', '철수', '훈이', '맹구', '유리'] print("index :", my_list.index('짱구')) #0 # reverse() 리스트의 원소 뒤집기(바로 변경) my_list.reverse() print("reverse :", my_list) #['유리', '맹구', '훈이', '철수', '짱구'] # [::-1] 슬라이싱 기법으로 원소 뒤집기(반환만 해줌, 변경x) print("슬라이싱 :",my_list[::-1]) #['짱구'..
15. Python 내장 함수
Python의 다양한 내장 함수들을 알아보겠습니다. #input() 콘솔로 입력 받기 #print() 출력 #int() 정수 자료형으로 변환 #float() 실수 자료형으로 변환 a=input('수 입력 : ') print("입력 받은 값(int) :",int(a)) print("입력 받은 값(float) :",float(a)) #max() 시퀸스 자료형의 원소중 최대값 #min() 시퀸스 자료형의 원소중 최소값 list=[2,5,8,3,9,1,4,7,6] print("최대값 :",max(list)) print("최소값 :",min(list)) #bin() 10진수->2진수 #hex() 10진수->16진수 print("10진수->2진수 :",bin(35)) #10011 print("10진수->16진수 :..
14. Python 사전 자료형
Python에는 사전(Dictionary) 자료형을 제공합니다. (key, value) 한쌍을 자료형으로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. dict={} #사전 자료형 dict['Apple']="사과" dict['banana']="바나나" dict['grape']="포도" print("dict :",dict) for i,k in enumerate(dict): #각각 데이터를 차례로 접근. i는 index, k는 key print("index :",i,", key :",k,", value :",dict[k]) # key값을 통해 value 변경 가능 dict['Apple']="치킨" print("dict :",dict) print("사전 자료형 길이 :",len(dict)) #len 사전 자료형 길이 # ..